시장은 원래 인류가 본격적으로 생산활동을 하던 시대부터 각자가 생산, 수렵, 획득에서 잉여된 물자를 일정한 장소에서 상호교환 한 것으로부터 출발하였다.
원시시대에는 산록, 평야, 강변, 해안, 광장 등에 어떤 시설도 없이 일정한날에 소규모로 물물교환을 했으나 인구가 증가하고 화폐가 개발되어 취락지구가 형성되면서 시장이 형성되었다.
우리나라에 있어서는 교환매매를 했던 일정한 장소를 장시(場市) 또는 장(場), 시장, 시상(市上)이라고 하고 상설의 상점을 시전(市廛), 시사(市肆), 전방, 전포, 전이라고 하였다.
신라 소지왕 12년(서기 490년경) 경주에 경사시를 개설하고 시장을 관리 감독하는 시전이 설립 운영되었고, 백제에서는 수도인 고마성에 경시가 있었으며 이를 관리하기 위해 도시부(都市部)를 두었으며, 고구려 역시 경시, 향시가 있었다.
고려조에는 개경에 대표적인 시전(市廛)이 있었는데 이를 통해 도시민의 생필품을 판매 하기도 하고 관수품을 조달하고 조세와 공납품 등 국고의 잉여품을 처분하기도 했으며, 지방의 상거래는 향시에서 이루어졌다.
조선전기의 시장은 고려시대부터 있었던 송도의 시전과 같은 관설시전과 3∼5일 간격으로 열렸던 시골 향시 등 두종류가 있었다.
1.조선시대의 관설시장인 육의전은 조선 궁궐 및 산하관청의 물품수요에 대한 공급기관으로서 유일한 이용단체인 동시에 상품독점에 대한 전매권을가진 상전이었다.
2.조선후기의 시장(향시 또는 지방장시)은 전국에 약 1천여개가 있었는데, 만기요람에 의하면 순조때에는 경기 102개소, 경상도 276개소 충청도 157개소, 강원도 68개소, 황해도 82개소, 전라도 214개소, 평안도 134개소, 함경도 28개소였다.
개성상업의 발전과 더불어 발달한 객주(객주상인)가 각종 상품의 수집과 분배를 하는 도매와 같은 기능을 하였음. 이들 객주는 위탁매매와 자기계산하의 수집과 분배영업을 본업으로 하였으며 부업으로는 오늘날 유통금융이라 할 수 있는 신용업무를 겸하였다. 또한, 이들 객주는 근세 우리나라의 각종 상품의 유통주체가 되었고 위탁상으로 발전하였다.
제2호 공설시장을 보면, 1916년 시장수는 1개 였다가 1922년에는 7개, 1936년에는 28개 로 증가하였으며,
제3호시장(어채시장)은 1905년 부산수산주식회사의 어시장을 발전시킨 것으로 3호시장에는 생선만 파는 가게, 청과물전문의 가게와 생선겸영의 가게 그리고 신탄(연료)전문의 가게가 있었다.
도매시장 개설자는 지방공공단체로 하며
도매시장외에서의 도매행위를 금지하고
1도시 1시장의 원칙을 법제화하여 도매시장의 독점적 이익을 보호하고 있으며
1할(10%)이라는 고율의 수수료를 징수케하고 있다는 점이다.
농수산부의 관장을 제도적으로 실현하였고
공적 시장으로서의 성격을 강화하였으며
도매시장의 시설근대화를 위한 의지를 담고 있음
그러나, 동법을 실천하기 위한 정책의지 부재로 동법은 사실상 사문화 되었다.
도심지의 협소한 자리에 위치한 유사도매시장 등 모든 도매시장을 장기적인 유통량, 도시계획 및 수송망 등을 고려하여 외곽지대에 충분한 넓이의 대지를 확보하여 종합도매시장을 건설, 이전하고
도매시장은 인구 30만 이상의 도시를 대상으로 지역유통 및 교통망을 고려하여 배치, 건설하며
소요자금은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직접투자하여 공영화 한다는 것을 골자로 하였다
전량 상장과 경매제도를 확립하고 가능한한 2개이상의 지정도매인을 입주시켜 경쟁기능을 통한 공정한 가격형성 유도
공영도매시장에 생산자단체인 농·수·축협의 적극참여 축산물도매시장은 지육경매만을 취급토록 하고 병설된 도축장은 지방으로 이전시켜 가축 시장과 병설하여 수입포장육도 축산도매시장에 상장시켜 경쟁가격형성을 유도 하였다.
구분 | 공영도매시장 | 일반법정도매시장 | |||||
---|---|---|---|---|---|---|---|
양곡 | 청과 | 축산 | 수산 | 약용 | |||
계 | 10 | 1 | 20 | 8 | 6 | 1 | |
서울 | 7 | 1 | 1 | 2 | 2 | 1 | - |
부산 | 8 | 1 | - | 5 | 2 | - | - |
대구 | 3 | 1 | - | - | 1 | - | 1 |
인천 | 2 | 1 | - | - | 1 | 1 | - |
광주 | 3 | 1 | - | - | 1 | 1 | - |
대전 | 2 | 1 | - | - | 1 | - | - |
경기 | 1 | 1 | - | - | - | - | - |
강원 | 1 | - | - | 1 | - | - | - |
충북 | 2 | 1 | - | - | - | 1 | - |
충남 | 1 | - | - | 1 | - | - | - |
전북 | 4 | 1 | - | 2 | - | 1 | - |
전남 | 2 | - | - | 2 | - | - | - |
경북 | 7 | - | - | 5 | - | 2 | - |
경남 | 3 | 1 | - | 2 | - | - | - |
시 도 | 합계(개소) | 공영도매시장 | 일반법정도매시장 | 민영도매시장 | |||||
---|---|---|---|---|---|---|---|---|---|
소계 | 청과 | 축산 | 수산 | 축산 | 양곡 | 약용 | |||
계 | 52 | 33 | 16 | 5 | 4 | 6 | 1 | 1 | 3 |
서울 | 4 | 2 | 2 | - | 1 | - | 1 | - | - |
부산 | 4 | 3 | 1 | - | 1 | - | - | - | |
대구 | 3 | 1 | 2 | - | - | 1 | - | 1 | - |
인천 | 4 | 2 | 2 | - | 1 | - | 1 | - | - |
광주 | 4 | 2 | 2 | - | 1 | - | 1 | - | - |
대전 | 4 | 2 | 2 | - | 1 | - | 1 | - | - |
경기 | 4 | 2 | 2 | - | 1 | - | 1 | - | - |
강원 | 4 | 2 | 2 | - | 1 | - | 1 | - | - |
충북 | 4 | 2 | 2 | - | 1 | - | 1 | - | - |
충남 | 4 | 2 | 2 | - | 1 | - | 1 | - | - |
전북 | 4 | 2 | 2 | - | 1 | - | 1 | - | - |
전남 | 4 | 2 | 2 | - | 1 | - | 1 | - | - |
경북 | 4 | 2 | 2 | - | 1 | - | 1 | - | - |
경남 | 4 | 2 | 2 | - | 1 | - | 1 | - | - |
선사시대부터 1914년 > 1950~60년대까지의 주요내용은 [한국농수산물유통과 도매시장사](한국농어민신문 지음)에서 일부 인용
도매시장명 | 출하자신고 담당자 전화번호 |
---|---|
부산엄궁 | (051) 310-8211 |
부산반여 | (051) 550-8245 |
부산국제수산 | (051) 220-8811 |
인천남촌 | (032) 440-6978 |
인천삼산 | (032) 440-6483 |
광주각화 | (062) 613-5542 |
광주서부 | (062) 613-5491 |
대전오정 | (042) 270-7971 |
대전노은 | (042) 270-7932 |
대구북부 | (053) 260-1044 |
울산 | (052) 229-6051 |
안양 | (031) 8045-2632 |
안산 | (031) 481-3727 |
수원 | 031-228-2722 |
구리 | (031) 560-5132 |
춘천 | (033) 245-5886 |
원주 | (033) 737-4355 |
강릉 | (033) 646-4654 |
청주 | (043) 201-2194 |
충주 | (043) 850-3944 |
천안 | (041) 521-2843 |
전주 | (063) 281-5372 |
익산 | (063) 859-5294 |
정읍 | (063) 539-7951 |
순천 | (061) 749-8967 |
포항 | (054) 270-4787 |
안동 | (054) 840-3817 |
구미 | (054) 480-4752 |
창원팔용 | (055) 225-7864 |
창원내서 | (055) 225-7826 |
진주 | (055) 749-6173 |
서울노량진수산물도매시장 | (02) 2254-8014 |
서울양재양곡도매시장 | (02) 3435-0598-9 |
인천가좌축산물도매시장 | (032) 440-6978 |
목포농산물도매시장 | (061) 281-4751 |
김천농산물도매시장 | (054) 434-3493 |
영천약초도매시장 | (054) 33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