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공영도매시장의 평가를 통하여 시장운영 개선 및 유통주체의 경영개선 등 도매시장의 발전방향 모색
도매시장의 관리주체와 유통주체의 개선 노력 유도
근거농수산물유통 및 가격안정에 관한 법률 제77조(평가의 실시)
2020년 12월 |
평가계획 시달(농림축산식품부 →개설자) |
---|---|
2021년 2월 |
2021년도 농산물도매시장 평가세부요령 안내(aT→시장 개설자) |
2022년 3월 31일 |
2021년도 도매시장 운영실적 평가보고서 제출(도매시장개설자 → aT) |
4~5월 |
도매시장 운영실적 현장평가 실시(aT) |
6월~8월 |
평가보고서 작성 및 평가결과 보고(aT → 농림축산식품부) |
9월 30일 |
도매시장 운영실적 평가결과 확정 발표(농림축산식품부) |
해당 일정은 참고용으로 세부 일정은 공문으로 안내 예정입니다.
평가부문 | 평가지표 | 평가항목 | 가중치 | |
---|---|---|---|---|
계량 | 비계량 | |||
고객관리 (23) |
관리운영노력(5) | ① 관리운영계획 수립 및 실행 노력 | 5 | |
고객만족도(7) | ②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 7 | ||
지도감독 노력(11) | ③ 업무검사 내실화 노력 | 6 | ||
④ 중도매인 평가 | 5 | |||
시설관리 (13) |
시설 운영 관리 노력(13) | ⑤ 시설 확충 및 관리 노력 | 3 | 2 |
⑥ 시설물의 안전재난 및 위생 관리 | 2 | 6 | ||
공정거래 질서유지 (64) |
경쟁촉진 노력(25) | ⑦ 출하자·법인·매매참가인 확대 및 육성 | 3 | |
⑧ 중도매인 규모화 유도 | 6 | 2 | ||
⑨ 정가수의매매 활성화 지윈 | 8 | 6 | ||
공정거래 질서 노력(13) | ⑩ 공정거래질서 확립 | 5 | 5 | |
⑪ 유통교육 참여율 | 3 | |||
상품성향상 노력(26) | ⑫ 안전성확보 노력 | 6 | 4 | |
⑬ 물류효율화 노력 | 10 | 6 | ||
계(100) | 50 | 50 |
평가부문 | 평가지표 | 평가항목 | 가중치 | |
---|---|---|---|---|
계량 | 비계량 | |||
고객관리 (13) |
고객만족도(6) | ①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 6 | |
개설자 자율지표(7) | ② 개설자 자율지표 추진실적 | 7 | ||
경영관리(5) | 경영관리 노력(5) | ③ 사업계획 수립 및 이행 노력 | 5 | |
주요사업 (82) |
물량집하분산 노력 (50) |
④ 물량집하활동 노력 | 5 | |
⑤ 거래규모 확대 실적 | 6 | |||
⑥ 물량유치를 위한 산지지원 | 12 | |||
⑦ 협력마케팅 노력 | 6 | 5 | ||
⑧ 정가수의매매 활성화 노력 | 4 | 12 | ||
공정거래질서 노력 (17) |
⑨ 경영정보 공시 노력 | 2 | ||
⑩ 판매원표 관리 및 정정감소 실적 | 3 | 3 | ||
⑪ 경매사 관리 노력 | 6 | |||
⑫ 유통교육 참여율 | 3 | |||
물류개선 노력 (15) |
⑬ 물류효율화 노력 | 9 | 6 | |
계(100) | 58 | 42 |
평가부문 | 평가지표 | 평가항목 | 가중치 | |
---|---|---|---|---|
계량 | 비계량 | |||
고객관리 (16) |
고객만족도(6) | ① 고객만족도 조사 결과 | 6 | |
개설자 자율지표(10) | ② 개설자 자율지표 추진실적 | 10 | ||
경영관리(10) | 경영관리 노력(10) | ③ 사업계획 수립 및 이행 노력 | 10 | |
주요사업 (74) |
물량집하분산 노력 (40) |
④ 매수거래 확대 노력 | 10 | 5 |
⑤ 거래규모 확대 | 12 | |||
⑥ 농산물 유치를 위한 산지지원 | 13 | |||
공정거래질서 노력 (29) |
⑦ 유통정보의 수집ㆍ분석ㆍ전파 노력 | 5 | ||
⑧ 경영정보 공시 노력 | 1 | |||
⑨ 외부 신용평가 결과 | 10 | |||
⑩ 거래내역 등 신고 적정성 | 8 | |||
⑪ 유통교육 참여율 | 5 | |||
물류개선 (5) |
⑫ 국내산 팰릿 출하실적 | 5 | ||
계(100) | 80 | 20 |
> 외부신용평가기관의 신용평가 결과를 반영하여 별도 평가
> 외부신용평가기관의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제출용"신용평가 결과에 따름
평가주기 : 매년
평가대상 : 도매시장법인 (1군,2군,3군), 시장도매인
외부 신용평가기관 : 한국기업데이터(주)
도매시장공판장은 농안법 시행규칙 제52조의 2(도매시장법인의 지정취소 등)에 해당하지 않음으로 평가 제외
등급 | 등급의 정의 | 환산점수 |
---|---|---|
AAA | 채무상환능력이 최고 우량한 수준임 | 90 |
AA | 채무상환능력이 매우 우량하나 AAA보다는 다소 열위한 요소가 있음 | 85±2 |
A | 채무상환능력이 우량하나 상위등급에 비해 경기침체 및 환경변화의 영향을 받기 쉬움 | 80±2 |
BBB | 채무상환능력이 양호하나 장래 경기침체 및 환경악화에 따라 채무상환 능력이 저하될 가능성이 내포되어 있음 | 75±2 |
BB | 채무상환능력은 인정되나 장래의 경제여건 및 시장환경변화에 따라 그 안정성면에서는 다소 불안한 요소가 내포되어 있음 | 70±2 |
B | 현재시점에서 채무상환 능력에는 당면 문제는 없으나 장래의 경제여건 및 시장환경 변화에 따라 그 안정성면에서는 불안한 요소가 있음 | 65±2 |
CCC | 현재시점에서 채무불이행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어 투기적임 | 60±2 |
CC |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높음 | 55 |
C | 채무불이행 가능성이 매우 높음 | 50 |
D | 현재 채무불이행 상태에 있음 | 45 |
NR | 조사거부, 등급취소 등의 이유로 신용등급을 표시하지 않는 무등급 | 40 |
*'AA'부터 'CCC까지 등급내 '+' 또는 '-' 등급인 경우 ±2 적용
> 경매제 1, 2군 시장은 매년 실시, 3군 시장은 격년 실시
미흡, 부진 법인·공판장, 시장도매인은 다음연도 농식품부·aT 합동 업무검사 실시
3군(지방도매시장)은 격년제 평가로 2019년도(홀수연도) 운영실적에 대해 2020년도 평가 제외
> 추진실적에 대한 실적치, 가·감점제 등에 의한 평가 실시
계량지표 : 해당 평가항목별 산식에 따라 평가
비계량지표 : 외부전문가에 의한 평가항목별 평가점수에 대한 가중치를 적용하여 득점 산출
- 평가항목별 득점산식 : 평가점수/100×가중치
평가부문 | 평가지표 | 평가항목 |
---|---|---|
100점이내~ 90점이상 |
◦ 평가지표에서 요구하는 평가내용이 충분히 만족 ◦ 업무개선 노력에 따라 추진실적이 크게 향상 ◦ 기관의 모범이 될 수 있는 실적 |
상 :100 중 : 95 하 : 90 |
90점미만~ 75점이상 |
◦ 평가지표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상당 수준 만족 ◦ 상당한 관리수준으로 추진실적의 향상정도 ◦ 예년에 사용하던 제도를 상당히 개선 |
상 : 85 중 : 80 하 : 75 |
75점미만~ 60점미만~ |
◦ 평가지표에서 요구하는 사항을 보통수준으로 만족 ◦ 예년실적에 비해 다소 개선한 정도 ◦ 예년에 사용하던 제도를 답습 |
상 : 70 중 : 65 하 : 60 |
60점미만~ 45점이상 |
◦ 평가지표에서 요구하는 사항에 부족 ◦ 예년 실적보다 다소 미흡 ◦ 업무의 개선을 위하여 상당한 노력이 요구 |
상 : 55 중 : 50 하 : 45 |
45점미만 |
◦ 평가지표에서 요구하는 사항에 현저하게 미흡 ◦ 예년 실적보다 상당히 저하 ◦ 업무추진에 상당한 문제가 있는 경우 |
상 : 40 중 : 35 하 : 30 |
평가기준에 다라 구간 평가점수는 5점차로 평가
단, 별도의 평가 기준이 있을 경우에는 그에 따름
> 최종득점의 계산
평가지표별 득점에 가·감점을 반영하여 최종득점 산출
최종득점 = 계량지표 득점 + 비계량 지표 득점 + 가·감점
> 최종 종합득점에 따라 S,A,B,C,D,E 등급 부여
등급 | 등급정의 | 종합득점 |
---|---|---|
S |
운영 및 관리 능력이 매우 뛰어나고 타 기관에 비해 선도적으로 운영하고 있음 |
90점 이상 |
A |
운영 및 관리 능력이 뛰어나고 타 기관에 비해 선도적인 운영형태를 갖추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 |
80점 이상 |
B |
운영 및 관리 능력이 타 기관에 비해 잘 운영되고 있으며 타 기관에 비해 선도적으로 운영하고자 노력하고 있음 |
70점 이상 |
C |
운영 및 관리 수준이 평균 수준이며 경영환경 변화에 대하여 인지만 하고 있음 |
60점 이상 |
D |
운영 및 관리 수준이 평균 이하이며 경영환경 변화에 큰 관심이 없음 |
50점 이상 |
E |
운영 및 관리 수준이 부진하며 경영환경 변화에 큰 관심이 없음 |
50점 미만 |
> 조치대상 기관 선정기준
최우수는 평가군과 관계없이 개설자, 도매시장법인(공판장), 시장도매인 각각 1개소 선정
(최우수, 우수 기준은 최종득점결과 "B"등급이상 조건임)
구분 | 개설자 | 도매시장법인(공판장)·시장도매인 |
---|---|---|
최우수 |
최고 득점 1개소 |
최고 득점 1개소 |
우수 |
상위 10% |
군별 상위 10% |
양호 |
상위 20% |
군별 상위 20% |
미흡 |
하위 10% |
군별 하위 10% |
부진 |
하위 10% 중 60점 미만 |
하위 10% 중 60점 미만 |
1. 허위 및 오류자료 제출 확인시 해당지표 0점 처리
2. 개설자의 경우 격년제 평가(1,2군) 연도에는 차상위 우수 1개소 선정 및 70점 미만인 경우만 "미흡" 판정
3. 가락시장소속 법인(공판장)인 경우 최우수 발생시에는 우수 미선정 및 70점 미만인 경우만 "미흡" 판정
4. 시장도매인은 과일, 채소 분리평가
관리공사 : 3개소 | 관리사무(업)소 : 10개소 |
---|---|
서울가락 , 서울강서, 구리시 | 부산엄궁, 부산반여, 대구북부, 인천남촌, 인천삼산, 광주각화, 광주서부, 대전오정 대전노은, 울산시 |
도매시장 | 도매시장법인 : 5개소 | 도매시장공판장 : 1개소 |
---|---|---|
서울가락 | 서울청과(주), ㈜중앙청과, 동화청과㈜, 한국청과(주), 대아청과(주) | 농협가락(공) |
도매시장 | 도매시장법인 : 23개소 | 도매시장공판장 : 13개소 |
---|---|---|
서울강서 | 서부청과(주), 강서청과(주) | 농협강서(공) |
부산엄궁 | 부산청과(주), 항도청과(주) | 농협부산(공) |
부산반여 | 동부청과(주), 부산중앙청과(주) | 농협반여(공) |
대구북부 | 대구중앙청과(주), 대양청과(주), 효성청과(주) | 농협북대구(공), 대구경북원협(공) |
인천남촌 | 인천농산물(주), ㈜대인농산, 덕풍청과(주) | 인천원협남촌(공) |
인천삼산 | ㈜경인농산, ㈜부평농산 | 인천원협삼산(공) |
광주각화 | 광주청과부류판매(주), 광주중앙청과(주) | 광주원협(공) |
광주서부 | ㈜호남청과, 두레청과(주) | 농협광주(공) |
대전오정 | 대전청과(주) | 농협대전(공) |
대전노은 | 대전중앙청과(주) | 대전원협노은(공) |
울 산 시 | 울산중앙청과시장(주) | 울산원협(공) |
구 리 시 | 구리청과(주), ㈜인터넷청과 | 농협구리(공) |
도매시장 | 도매시장법인 : 21개소 | 도매시장공판장 : 19개소 |
---|---|---|
수 원 시 | 수원청과물(주), 경기청과(주) | 수원원협(공) |
안 양 시 | 안양농산물(주) | 안양원협(공) |
안 산 시 | 안산농산물(주) | 농협안산(공) |
춘 천 시 | 중앙청과(주) | 춘천원협(공) |
강 릉 시 | (주)강릉농산물 | - |
원 주 시 | 합동청과(주) | 원주원협(공) |
청 주 시 | 청주청과시장(주) | 충북원협청주(공) |
충 주 시 | 충주중원청과(주) | 충북원협충주(공) |
천 안 시 | 천안청과(주) | 천안농협(공) |
전 주 시 | 전주청과물(주) | 전주원협(공) |
익 산 시 | (합자)이리청과회사 | 익산원협(공) |
정 읍 시 | 정일청과(주) | 정읍원협(공) |
순 천 시 | 순천남도청과(주), 남일청과(주) | 순천원협(공) |
안 동 시 | 안동청과(합자) | 안동농협(공) |
구 미 시 | 구미중앙청과(주) | 구미농협(공) |
포 항 시 | 포항청과(주) | 대구경북능금농협포항(공), 포항농협(공) |
창원팔용 | ㈜창원청과시장 | 농협창원(공) |
창원내서 | 마산청과시장(주) | 창원원협(공) |
진 주 시 | 진주중앙청과(주) | 진주원협(공) |
법인명 | ||
---|---|---|
㈜장원F&F | 우림웰빙청과㈜ | 선인농산㈜ |
㈜영진농산 | 남평농산㈜ | ㈜섬광유통 |
낙연상사㈜ | 백천청과㈜ | 도농상사㈜ |
천일농산F&V㈜ | ㈜신영진청과 | 무안청과㈜ |
㈜경창유통 | 서울NH청과(주) | 무등농산㈜ |
㈜한진청과 | 고영유통㈜ | 충남농산㈜ |
당근조광농산물㈜ | 덕안청과㈜ | 경남야채㈜ |
강서진영유통㈜ | ㈜태화상사 | ㈜윈플러스팜 |
㈜강서명일농산 | ㈜매일청과 | ㈜초록유통 |
㈜강서시장농산 | 초록상자㈜ |
법인명 | ||
---|---|---|
서서울청과㈜ | 광원유통㈜ | 대성청과㈜ |
한마음농산㈜ | 청수농산㈜ | 태진청과㈜ |
우진해성청과㈜ | 일광유통㈜ | 중원청과㈜ |
㈜경동유통 | ㈜현대유통 | 서농청과㈜ |
청호청과㈜ | ㈜성심유통 | 선광청과㈜ |
삼팔중앙㈜ | 한웅청과㈜ | ㈜한국청과위탁판매 |
㈜썬후르츠 | 천안상사㈜ | 대우삼삼유통㈜ |
김포청과㈜ | ㈜과일랜드 | 공항경진청과㈜ |
서광유통㈜ | 매산농산㈜ | 고향청과㈜ |
㈜TF유통 | 주인농산㈜ | ㈜경방농산 |
㈜탑후르츠 |
* 18년 강서농산물도매시장 시장도매인 청과부류 신규 지정(`18.12.21, 서울시장)
- 신규지정 : 8개소(채소류 7, 과일류 1), 지정기간(2019.1.1.~2023.12.31.)
* 신규 시장도매인 대해서는 평가는 하되 등급 미 부여 및 조치대상 기관 선정기준 제외